역대하33장
오늘 말씀은 남유다 므낫세왕와 그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아몬왕에 대한 말씀이 기록되어 있는데 므낫세는 선왕 히스기야와 달리 악한 길로 나아갔고 이러한 므낫세왕을 이어 왕이 된 아몬도 악을 행하다가 반란으로 인해 죽음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하나님 보시기에 올바른 삶을 살았던 히스기야가 죽자 그 아들 므낫세가 12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유다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55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유다를 통치하여 20명의 유다 왕 중에 가장 오래 왕위에 앉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므낫세는 히스기야와는 전혀 다른 악한 길을 걸었습니다.
그는 이방 사람의 가증한 죄악을 본받아 우상숭배를 행하였습니다. 심지어 성전 안에까지 온갖 우상을 채웠을 뿐만 아니라 유다 백성들을 이방신에 빠지도록 유도하여 적극적인 죄악을 저질렀습니다. 그는 일월성신을 숭배하고 여호와의 전에 단을 쌓고 신접한 자와 박수를 신임하여 하나님을 진노하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오늘 말씀에 보면 므낫세의 우상 숭배가 하나님께서 가증히 여겨 이스라엘을 통하여 멸하신 이방 족속보다 더욱 심하다고 했습니다. 9절에 보면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이 므낫세의 꾀임을 받고 악을 행한 것이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멸하신 모든 나라보다 더욱 심하였더라”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는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을 완전히 뒤집어 버리는 악행을 범했던 것입니다. 그는 거룩해야 할 하나님의 성전에 온갖 우상으로 가득 채웠습니다. 그리하여 유다 백성들이 오히려 이방 족속들보다 더 열심히 우상 숭배에 빠지도록 하였습니다.
므낫세와 유다 백성이 여호와의 말씀에 순종치 않고 우상 숭배의 가증한 행위를 계속하자 하나님께서는 징계를 내리셨습니다. 그것은 앗수르 왕의 군대 장관들로 하여금 유다를 침략하도록 하신 것입니다. 그 일로 왕 므낫세는 사로잡히고 쇠사슬에 묶인 채 바벨론으로 끌려가게 되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이 죄악을 행할 때 이방 나라를 들어 징계의 채찍으로 사용하십니다.
므낫세는 바벨론에 끌려가서 온갖 고통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환난 속에서 므낫세는 자신의 죄를 깨닫고 하나님께 회개하였던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므낫세의 겸비함과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시어 그를 예루살렘으로 다시 돌려보내 왕위에 앉도록 하셨습니다.
바벨론에서 돌아와 다시 유다 왕위에 앉은 므낫세는 지난날의 죄악을 회개하고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기 위해 개혁에 착수하였습니다. 그는 그 동안 자신이 섬겼던 우상들을 제거하는 일에 힘썼습니다. 그리고 여호와의 전을 중수하고 화목제와 감사제를 하나님께 드렸습니다. 그러나 그의 종교 개혁에는 한계성이 있었습니다.
므낫세가 죽자 그의 아들 아몬이 왕이 되었습니다. 그 또한 므낫세와 같이 악을 행하고 우상을 숭배하였습니다. 아몬이 우상 숭배를 다시 하게 된 것은 하나님께 대한 범죄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만 섬기라는 선왕 므낫세의 명령을 어긴 것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범죄로 인해 커다란 고통을 당했던 므낫세는 하나님께 회개함으로 바벨론에서 돌아와서는 겸손하여져서 여호와의 신앙을 지켰고 이스라엘 백성들과 아들 아몬에게 하나님만 섬길 것을 명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몬은 그 아비의 명령까지 거부하면서 악을 행하였습니다. 22절에 보면 “그의 아버지 므낫세의 행함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여 아몬이 그의 아버지 므낫세가 만든 아로새긴 모든 우상에게 제사하여 섬겼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아몬은 므낫세의 행위 중에서도 악한 것만을 본받아 행하고 끝까지 회개하지 않았습니다. 므낫세는 온갖 우상들을 만들어 숭배하는 악행을 일삼았지만 말년에는 회개하여 하나님의 심판으로부터 구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철저하지는 못했다고 하지만 종교 개혁도 시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아몬은 선왕 므낫세와는 달리 죽는 순간까지 회개하지 아니하고 더욱 악행을 저질렀던 것입니다.
결국 아몬왕은 악행을 일삼다가 신하의 반역으로 궁중에서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몬 왕을 죽인 신하들도 백성들의 손에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아몬이 하나님의 진노로 죽자 이스라엘 백성은 그의 아들 요시야로 하여금 왕위를 계승하도록 했습니다.
우리는 늘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연약한 존재이기에 교만하여져서 하나님께 범죄할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즉시 회개하고 돌이킬 수 있는 자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죄를 짓고 난 후 회개한 자와 회개하지 않는 자의 결말이 어떠한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항상 회개하여 정결함과 정직함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시는 성도여러분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역대상하장별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하34장 (0) | 2010.01.24 |
---|---|
역대하31장(히스기야의 형통) (0) | 2010.01.19 |
역대하29장 (0) | 2010.01.17 |
역대하28장(아하스왕) (0) | 2010.01.14 |
역대하26장(웃시야왕) (0) | 2010.01.12 |